경부하 또는 무부하 시 콘덴서가 과대 투입되면 진상 역률로 인해 페란티 현상이 발생한다.
또 점차적으로 도시 미관을 고려 지중화 선로가 증가하는데 이 역시 진상 역률 증가 요인이 된다.
이러한 진상 역률은 수전단 전압이 높아져 수전단 측 전력 설비의 절연파괴를 촉진시키게 되고
더불어 낮은 지역률과 마찬가지로 전력손실을 증가시키며
여기에 더해 고조파의 왜형을 증대시킨다.
이런 이유로 지상 역률보다 더 엄격히 관리해야 하며
대책으론 계통에 연계된 진상용 콘덴서를 전부 개방해야 하고
분로 리액터, SVG. 동기 조상기 등을 선로와 연계 L 성분을 계통에 공급해야 한다.
삼화엔지니어링 | 고조파필터, 무효전력제어, 콘덴서, 전문기업
능동형 고조파필터, SVC(무효전력 보상장치), SVG(무효전력 공급장치), 자동역률제어, 전력용콘덴서, 직렬리액터, 분로리액터.관련 정보제공
samwhaeng.kr
'전력용 콘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용 커패시터의 수명? (0) | 2025.04.14 |
---|---|
전력용콘덴서의 절연진단? (0) | 2025.03.31 |
자동역률제어 커패시터 뱅크 제작 사진 (0) | 2025.03.08 |
전력용 콘덴서의 고장과 원인? (0) | 2025.02.24 |
동기 조상기(Synchronous Compensator)?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