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력용 콘덴서

직렬공진 차수 계산?

직렬공진은 인덕터(L)와 커패시터(C)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서 특정 주파수(공진 주파수)에서 임피던스의 허수부(리액턴스)가 서로 상쇄되어 전체 임피던스가 저항(R) 값만 남아 최소가 되는 현상이다. 

이 때 전류는 최대가 되며, 회로는 특정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므로 파워 커패시터 뱅크에 직렬 리액터 선정시 어느 주파수대에서 직렬공진이 발생되는지 그 공진차수를 알고 대처해야 한다.

그래야 특정차수 주파수에서 전류 최대가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삼화엔지니어링 | 고조파필터, 무효전력제어, 콘덴서, 전문기업

 

삼화엔지니어링 | 고조파필터, 무효전력제어, 콘덴서, 전문기업

능동형 고조파필터, SVC(무효전력 보상장치), SVG(무효전력 공급장치), 자동역률제어, 전력용콘덴서, 직렬리액터, 분로리액터.관련 정보제공

samwhaeng.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