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4)
고조파 전류 흐름의 이해 및 직렬공진과 병렬공진? ■. 고조파 해석에 있어 고조파 전류는 부하 측에서 전원 측으로 흐른다로 해석한다. 즉 고조파는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수용가 측의 비선형 부하는 고조파 발생원이 된다. ​ 아래 저항 회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류는 저항이 작은 회로로 더 많이 흐르게 된다. 마찬가지로 고조파 전류 역시 유도성 임피던스가 크면 작게 흐르고 용량성 회로가 되거나 공진 조건이 된다면 이상 확대돼 대단히 큰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유도성 리액턴스의 크기에 따라 고조파 전류의 크기가 결정된다. 하여 직, 병렬 공진 예방을 위해선 부하 측에서 발생하는 고조파에 대해 필터링이 필요 하고 또는 문제 될 n차 고조파에 대해서 커패시터 뱅크에 유도성 회로를 부여 이를 제한해야 한다.   콘덴서 회로에 있..
페란티현상에 따른 진상역률 문제 ■. 일반적인 송, 배전 계통의 부하는 대부분 코일성분이어서 부하가 걸려 있게 되면 전류가 전압보 다 위상이 뒤지게(Lagging) 된다. 송, 배전 선로나 변압기의 임피던스에(R + jX) 뒤진 전류가 흐르면 아래 Vector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전단전압은 송전단전압에 비해 낮아지게 되므로 부하 측에 문제가 없으나 부하가 경감되는 야간 경부하시 또는 무부하시에는 선로에 분포된 정전용량의 영향으로 충전전 류 Ic = 2πfCE의 앞선(Leading) 전류가 흐르게돼 진상역률을 더 떨어트리고 또한 역률개선용으로 설치된 전력용콘덴서를 off하지 않을 경우 충전전류의 크기를 더 키우게 되 므로 수전단 전압을 송전단 전압보다 더 높이게 된다 이를 페란티현상이라하며 이는 낮은 진상역률이 된다.  이러한 현..
자기여자 현상에 따른 콘덴서 고장? ■. 유도전동기 부하 역률을 개선코자 전력용 콘덴서를 아래 그림과 같이 병렬 결선해 사용한다. 저압 유도 전동기는 모든 현장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해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유도전동기 의 자기여자 현상으로 인해 모터 및 콘덴서의 절연이 열화돼 종국엔 콘덴서 및 모터 고장으로 나 타나게 된다.​ 이상에 대해 아래와 같이 살펴본다.​◈.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自己勵磁) 현상. 유도전동기의 부하역률 개선을 목적으로 콘덴서를 설치한다. 그런데 유도전동기의 무효전력은 크게 변동하지 않아 그림과 같이 콘덴서를 모터에 병렬 설치 하게 된다.​ 이럴 경우 모터 정지를 위해 MC가 개방한 후에도 부하 측 전원이 즉시 Zero로 되지 않고 이상 상승하거나 짧은 시간이지만 바로 감쇠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작업 현장의..
3상 단락전류 & 단락용량 계산. 차단기 용량선정 및 보호 계전기 정정을 위해서는 전력 계통에 3상 단락전류의 크기를 알아야한다.3상 단락이란 평형고장으로 옴법 그리고 퍼센트임피던스법 또는 PU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조건이 아래와 같을 때 3상 단락전류와 3상 단락용량 크기가 어떻게 되는지 이하에 살펴본다.https://samwhaeng.kr/ 삼화엔지니어링 | 고조파필터, 무효전력제어, 콘덴서, 전문기업능동형 고조파필터, SVC(무효전력 보상장치), SVG(무효전력 공급장치), 자동역률제어, 전력용콘덴서, 직렬리액터, 분로리액터.관련 정보제공samwhaeng.kr
고압 및 특별고압 그리고 중 저압 전력용 커패시터 절연유 시험성적서. 폴리염화비페닐류(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중 하나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 폐기물관리법 및 도로법 등 관계 법령에 정해져 있는 기준 등을 준수하여 PCBs 함유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기술적 방법과 유의 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다루고 있는 물질이다. 국내에서는 60~70년대에 일부 전기기기나 열교환기에 절연유나 열매체유 등으로 사용된 이후 1979년 환경부로 부터 사용금지 되었으나, (절연 특성 면에서 매우 우수) 변압기 제작 및 절연유 제조 과정에서 일부 오염된 설비들이 밝혀져 이의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PCBs의 근절을 최종 목표로 삼고 ..
고압(6.6kV or 3.3kV) 회로의 콘덴서 뱅크보호 방식. ■. 중성점 전압검출 N V S(Neutral Voltag Sensor) 보호 방식.6.6kV or 3,3kV 고압 회로의 콘덴서 보호 방식 중 신뢰성이 가장 우수한 방식이 된다.콘덴서와 콘덴서 또는 콘덴서와 저항기를 사용 두 중성점 간의 전위차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비접지 Y-Y 결선의 콘덴서 뱅크에 적용한다.이는 O C R or O V R 방식에 비해 리스폰스 타임이(Response time) 빠르고 정확해 차단기 동작을 신속히 처리하므로 2차 확대사고를 미연에 예방한다.​N C S 방식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보호 System이다.​- 장점. 옥내, 옥외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콘덴서 고장 시 중성점에 나타나는 불 평형 전압에 의해 N V S가 동작하므로 별도의 조작 전원이 필요 없다. 무..
비접지 방식의 1선지락사고. ■. 비접지방식 1선 지락사고 어느 한 상이 지락 되면 지락 상과 대지는 등 전위가 돼 고장 상의 대지 정전용량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때 지락전류는 건전상의 대지 정전용량을 통해 대지로 흐르게 된다. 이때 흐르게 될 지락전류는 용량성인 대지 정전용량을 통해 흐르게 되므로 지락전류는 앞선(진상)전류가 된다. ​ 지락전류 결과 식이 3WCE가 되는데 이는 대지 정전용량 Cs가 3개여서 3WCE가 된다는 해석은 잘못된 해석이다. 아래 결과 해석을 참조요. ​ - 장점. 지락전류가 작게 되므로 통신선 유도장해 역시 경감된다. 지락 전류가 자연 소멸해 계속 송전이 가능하다. 변압기 1대 고장 시 V결선으로 계속 송전이 가능하다. ​ - 단점. 건전상의 전위상승이 √3배로 직접 접지방식에 비해 높다. ..
ABB 능동형 고조파 필터 사양(PQFM). 1. 고조파 필터의 필요성.파워 일렉트로닉스의 지속적 기술 성장과 생(省)에너지의 필요에 따라 인버터, 위상제어 장치, 정류기, UPS, DC 컨버터 등 비선형부하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이런 비선형 부하의 증가는 전력 변환, 정밀 제어, 속도 조절, 에너지절약 등 부하 요구에 따른 것으로 진행 속도가 빠르다.여기에 더해 사용자 욕구 또한 높아지고 부하 종류가 다양해 짐에 따라 그 응용범위 역시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이런 광범위하고 다양한 종류의 비선형부하는 파형을 왜곡시키고 고조파를 생성시키므로 전원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데 전력설비는 물론 생산설비, 송 배전 전력망까지 장애(Trouble)를 초래해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게 한다.그러므로 이런 장애요인인 고조파에 대해 근본적 해결 조치가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