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92) 썸네일형 리스트형 콘덴서 정전용량? 정전용량 C[F]의 콘덴서 양단에 주파수f[Hz]인 전압V[V]를 인가할 경우 이 때 콘덴서 임피던스 Zc = 1/2πfC[Ω]으로전류 Ic = V/Zc로 2πfCV[A]가 된다.그러므로 진상용량 Qc = V Ic = 2πfCV²[var]이 되어 정전용량 C = Qc / 2πfV² [F]가 된다하여 동일한 진상용량을 얻기 위해 전압을 2배로 하면 정전용량은 1/4배가 된다. 콘덴서 정전용량은 스칼라양으로 얻고자 하는 용량에 따라 복수개의 콘덴서가 사용되고동일용량이라 할지라도 내부 결선에 따라 개개의 콘덴서 용량은 다르게 된다.이상에 대해 살펴본다. https://www.samwhaeng.kr/ 삼화엔지니어링 | 전력용콘덴서 전문기업전력용콘덴서, 콘덴서, 직렬리액터, 방전코일, 역률개선용콘덴서뱅크 .. 평균역률? 부하가 분산되어 있는 Main측 역률은 각 Feeder별 역률을 평균한다하여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이에 대해 알아본다 https://www.samwhaeng.kr/ 삼화엔지니어링 | 전력용콘덴서 전문기업전력용콘덴서, 콘덴서, 직렬리액터, 방전코일, 역률개선용콘덴서뱅크 전문서비스 기업 각종콘덴서 관련 정보 및 faq제공 ,전력용콘덴서 시공관련 갤러리제공www.samwhaeng.kr 콘덴서 설치에 따른 전류 변화? 전력용 콘덴서는 역률을 개선시키는데 필요한 진상무효전력의 발생원이 된다.이 콘덴서를 어느지점에 설치하냐에 따라 그 효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얻을 수 있는 이득 역시 차이가 있게 된다.통상 효과만을 생각하여 부하에 가깝게 설치하고 있는데 이는 최선의 방법이 될 수 없고 때에 따라 상황에 맞는 System구성이 더 경제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하여 전문가 상담이 필요하며 계통 System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담당자 역할이 크다 할 수 있다. 아래에서 처럼 부하전류의 변화로 역률개선 지점을 알 수 있으며콘덴서용 차단기 개폐와 관계없이 A2전류는 부하 변동이 없는한 항시 일정할 것이며A1의 전류만이 콘덴서 차단기 개폐에 영향을 받게 된다.그러므로 전류의 변화로 확인할 수 있드시 역률개선이라 함은 콘덴서 설치점에.. 변압기 동손 경감? 콘덴서 설치로 역률이 개선됨에 따라 부하전류가 감소되어 변압기 부하손인 동손을 저감하게 된다.변압기 손실은 부하손인 동손(Copper Loss)과 무부하손인 철손(Iron Loss)으로 구분되는데부하손 = (표류부하손+권선 저항손) , 무부하손 = (히스테리시스손+와류손)이 된다. 철손은 무부하 손으로 부하전류와 관계 없지만 동손은 부하손으로 부하전류의 젭곱에 비례한다(PL = I² R)그러므로 역률 개선으로 부하전류를 감소시키면 동손은 부하전류의 제곱에 비레하여 감소하게 된다.이는 콘덴서 설치에 따른 크나큰 장점으로 이에 대해 알아본다. https://www.samwhaeng.kr/ 삼화엔지니어링 | 전력용콘덴서 전문기업전력용콘덴서, 콘덴서, 직렬리액터, 방전코일, 역률개선용콘덴서뱅크 전문서비스 ..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