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조파

(28)
능동형고조파필터 설치공사 & 자동역률제어콘덴서뱅크 시스템개선공사 및 시운전. 수행업무? 현장미팅 -> 자료수집 -> 계통 측정 및 진단 -> 자료분석 및 모의 -> 설계 -> 제작 승인 -> 설치 -> 시운전 -> 비교평가 -> 표준화 -> 보고서 제출. https://www.samwhaeng.kr/ 삼화엔지니어링 | 전력용콘덴서 전문기업 전력용콘덴서, 콘덴서, 직렬리액터, 방전코일, 역률개선용콘덴서뱅크 전문서비스 기업 각종콘덴서 관련 정보 및 faq제공 ,전력용콘덴서 시공관련 갤러리제공 www.samwhaeng.kr
전류고조파 규제 TDD. 전류파형의 왜곡을 나타내는데 종합왜형율(전고조파의 실효값/기본파의 실효값)은 문제가 있다. 왜냐? 가변속 드라이브장치를 예로 들자면 경부하시 입력전류에 대해 높은 종합왜형율이 되는데 이는 왜형율은 높지만 고조파전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즉, 경부하 역률이 전(Full)부하 때보다 나쁘지만 이 때 지상무효전력량은 전부하 때보다 크지 않음이 일맥상통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로 인해 IEEE Standard 519-2014에선 TDD(Total Demend Distortion)로 써 규제하는데 이는 각 차수 고조파전류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을 최대부하전류의 백분율로 하고 있다. 하여 계통에서 얻어진 THD(Total Harmonic Distortion)를 TDD로 환산해야만 규제 이내 여..
고조파 손실 아래 그림과 같은 R - L병렬회로에 순시전류 i가 흐를 떄 부하에서 발생되는 기본파손실과 제 3고조파의 손실? https://www.samwhaeng.kr/technology/ 기술자료실 - 삼화엔지니어링 전력용콘덴서 전문기업 수동형 고조파 필터(Passive Harmonic Filter) -> 파워일렉트로닉스의 지속적 기술 성장에 따라 부하는 인버터, 위상 제어장치, 정류기, UPS, DC컨버터 등,,,, 비선형 부하가 크게 증가돼 있는 현실이다. … www.samwhaeng.kr
고조파 규제. 고조파 규제, 관리기준에 대해 아래와 같이 살펴본다. 더불어 고조파 대책 방법을 요약한다. 능동형 고조파 필터 (Active Harmonic Filter) (samwhaeng.kr) 능동형 고조파 필터 (Active Harmonic Filter) 파워일렉트로닉스의 지속적 기술 성장에 따라 부하는 인버터, 위상 제어장치, 정류기, UPS, DC컨버터 등…비선형 부하가 크게 증가돼 있는 현실이다. 이런 비선형 부하들은 고조파를 생성 계통 www.samwhaeng.kr
고조파 개선 대책 고조파 개선 대책엔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다. 고조파 한류리액터(Harmonic-limiting Reactor)를 설치 발생원으로 부터 계통으로의 고조파 유출을 억제시키거나 또한 부하측으로의 유입을 제한시키는 억제방법, 고조파 수동필터(패시브필터)를 설치 분로회로를 구성하여 계통고조파를 흡수시키는 방법, 고조파 능동필터(액티브필터)를 설치 계통 발생고조파를 검출하여 반대위상의 고조파를 발생 상쇄제거하는는 방법, 그외 발생량 자체를 낮추는 고조파저감 방법 등 여러가지 고조파대책이 있는데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살펴본다. ---- 아 래 ---- 능동형 고조파 필터 (Active Harmonic Filter) (samwhaeng.kr) 능동형 고조파 필터 (Active Harmonic Filter) 파워일렉트..
공진차수 계산? 직렬 리액터 리액턴스比에 따른 공진차수 계산에 대해 아래와 같이 알아본다.아울러 4고조파는 왜? 6% 리액터를 피해야 하는지6%리액턴스에서 제 5차 고조파는 왜? 콘덴서 뱅크로 흡수되는지이해함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출처] 삼화엔지니어링- - http://www.samwhaeng.kr/bbs/board.php?bo_table=c01&wr_id=180    https://www.samwhaeng.kr/ 삼화엔지니어링 | 전력용콘덴서 전문기업전력용콘덴서, 콘덴서, 직렬리액터, 방전코일, 역률개선용콘덴서뱅크 전문서비스 기업 각종콘덴서 관련 정보 및 faq제공 ,전력용콘덴서 시공관련 갤러리제공www.samwhaeng.kr
전류 고조파의 규제 TDD ? 전류의 왜곡정도를 나타낼 때 표기하는 종합왜형율(전고조파의 실효값/기본파의 싷효값)은 문제가 있게 된다.왜냐?가변속 드라이브장치를 예로 들면경부하시엔 입력전류에 대해 높은 종합왜형율이 되는데이는 상대적으로 왜형율은 높지만 고조파전류의 크기가 작기 때문이다.즉, 경부하 시의 역률이 전부하 때보다 나쁘지만 이 때의 지상무효전력이 전부하 때보다 많지 않음이 일맥상통한다할 수 있다.따라서 이런 문제로 인해 IEEE Standard 519-1992에선 TDD(Total Demend Distortion)로 써 규제하는데이는 각 차 고조파전류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을 정격전류의 백분율로 하고 있다.하여 계통에서 얻어진 THD(Total Harmonic Distortion)를 TDD로 환산하여 규제 이내 여부를 판단해야..
고조파전류 분류? 콘덴서 뱅크 투입에 따른 각 뱅크별 고조파 분류율? [출처] 삼화엔지니어링- - http://www.samwhaeng.kr/bbs/board.php?bo_table=c01&wr_id=89                          https://www.samwhaeng.kr/ 삼화엔지니어링 | 전력용콘덴서 전문기업전력용콘덴서, 콘덴서, 직렬리액터, 방전코일, 역률개선용콘덴서뱅크 전문서비스 기업 각종콘덴서 관련 정보 및 faq제공 ,전력용콘덴서 시공관련 갤러리제공www.samwhaeng.kr